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 / 뉴스1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전공의에 이어 의대 교수들도 집단 사직을 예고한 가운데 개원의들마저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산부인과 전문의)과 집행부는 이날 열린 학술 세미나에서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반발해 야간·주말 진료를 축소하자는 의견을 공유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개원의협의회는 대한의사협회 산하 협의회로 동네 병의원을 개원해 운영하는 의사들의 모임이다.
김 회장은 "아직 협의회 차원에서 결정한 사안은 없고 집단 휴진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라면서도 "개원의들 사이에서 토요일이나 야간에 진료를 하지 않고 주 5일 40시간 근무하는 '준법 진료'를 하자는 얘기가 나오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공의에 이어 의대 교수들까지 병원을 떠나겠다고 하니 우리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는 분위기가 있다. 내부 지침을 세운 건 아니고 자발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개원의협의회는 야간과 주말 진료를 줄이는 준법 진료를 고민하겠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개원의는 자영업자다.
이에 개원의의 진료 시간은 보건복지부가 정해둔 것이 아닌, 운영하는 각각의 의원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어 진료 시간을 축소하는데 '준법'이라는 표현을 쓰기에는 애매한 상황이다.
현재 복지부는 병의원의 야간 및 휴일 진료를 강제하지 않고, 야간이나 휴일에 진료할 경우 수가를 가산하는 식으로 보상을 강화해 제공하고 있다.
이날 김 회장은 "우리나라는 의사가 부족한 국가가 아니다. 불편한 게 전혀 없다. 현재 의사 정원이 부족한 것은 원가 이하의 수가 (때문)이다"라고도 주장했다.
채널A '뉴스 A'
이처럼 의료계의 반발이 이어지자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채널A '뉴스 A'에 출연해 전국 16개 의대 교수들의 "25일부터 사직서를 내겠다"라는 결의와 관련해 "국민에 대한 겁박"이라고 비판했다.
박 차관은 의대 교수들의 '의대 증원 2000명 수치 조정' 요구에 대해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해서 정부의 정책을 무릎 꿇리겠다' 이러한 태도이기 때문에 그러한 요구에 정부가 응할 수는 없다"라고 밝혔다.
국립중앙의료원 전문의협의회가 전공의들을 지지하며 정부를 향해 "좌시 않겠다"라고 경고한 것에 대해서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국민의 생명을 지킬 것"이라면서 "만약에 대한민국의 의사가 하나도 현장에 남아있지 않는다면 전세기를 내서라도 환자를 실어 날아서 환자를 치료하겠다"며 "거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에 대해서는 다 책임을 져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