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구 소멸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2023년 대한민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흐름대로라면 올해 0.7명대가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인구학 권위자 콜먼 교수는 "이대로라면 2750년에 대한민국이 소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출생 문제는 이제 코앞에 닥친 문제다.
이런 가운데, 저출산 반등의 기회가 아직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역사상으로 마지막 연간 70만명 이상 태어난 1990년대 초반생들이 주 출산 연령으로 진입했다는 것이다.
이들이 아이를 낳으면 저출산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실제 지난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한 여성의 평균 연령은 33.6세로 나타났다. 구간 별로는 30~34세 엄마들이 낳은 아이가 10만 6100명으로 전체 출생아의 46.1%를 차지했다.
이 연령대의 출산율이 전체 출산율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30대 초반 연령은 1991~1995년생들이다. 절대적 인구수가 많은 이들이 5년 동안 출산을 한다면 저출산 흐름을 뒤바꿀 수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반대로 말하면 지금 저출산을 해결하지 못하면 여성의 절대적인 수가 부족해 아이를 낳더라도 저출산의 늪에서 빠져나오기 힘들다는 뜻이기도 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물론 여성들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실질적으로 삶의 개선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아이를 낳으라고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 여성은 "아이 낳는 게 싫어서 안 낳는 게 아니다. 생존이 힘들어서 어쩔 수 없이 안 낳게 되는 거다. 근본적인 것부터 해결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을 내비쳤다.
또 다른 여성 역시 "아이 낳으면 경단녀(경력 단절 여성)가 된다. 그럼 경제력도 잃고, 사람 대접도 못 받는다. 또 몸도 망가지고 여유도 없어지는데 왜 낳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 누리꾼은 "큰일났네... 애 낳는 건 둘째 치고, 1990년에 태어난 사람들은 결혼 생각도 없던데"라며 우려를 표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일각에서는 정부의 출산율 위기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은 한국보다 여유가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골든타임'을 공식화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해 저출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젊은 층 인구가 급감하는 2030년에 진입하기 전까지 저출산 추세를 반전시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가진 힘을 총동원해 대처하겠다"고 했다.
한국도 일본처럼 위기에 대한 절박함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