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2일(토)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대학병원서 수술 거부당해 아이 유산"...정부 조사 착수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전공의 집단 사직서 제출 사태로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한 임산부가 유산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정부가 수사에 착수한다.


29일 조선일보는 지난 27일 임산부 A씨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출산이 임박했던 A씨는 "산도(출산 시 아기가 나가는 통로) 이상으로 서울의 모 대학 병원에서 수술받으려 했다"며 "그런데 '수술할 여력이 없다' 고 거부당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다른 병원을 찾아보다가 결국 유산했다"고 분노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국무총리가 본부장을 맡고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9일 즉각 대응팀을 꾸려 해당 병원에 보내 현장 조사에 나섰다.


해당 병원은 사건과 관련해 "우리 병원에서 태아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서 제출 사태가 일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각종 피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보건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피해 신고·지원 센터'에는 19일부터 27일까지 총 671건의 상담이 이뤄졌다.


이 중 의료 파행 사태와 관련된 피해 신고는 304건이며 피해 신고 중 228건이 '수술 지연' 관련 피해였다.


이에 정부는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병원을 집단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오늘(29일)까지 복귀할 것을 요청했다.


뉴스1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정부는 업무개시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의료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의사 면허를 박탈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런 정부의 강경한 대응에 일부 전공의들은 복귀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26일 서울 건국대병원 전공의 12명이 복귀했다.


전남대병원에서는 지난주까지 업무개시명령을 받은 전공의 119명 중 7명이 복귀했다.


마지노선인 오늘(29일) 전공의들의 복귀가 이뤄질지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