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조기 대선, 국민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
6·3 조기 대선이 유권자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국회에서 개최된 한국정당학회와 국회입법조사처 공동학술회의에서 이러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서울대학교 한국사회과학자료원이 실시한 '제21대 대통령선거 전후 유권자 패널조사'를 통해 선거 전후 유권자들의 심리 변화를 분석한 것인데요.
이 조사는 지난 5월 21∼30일과 6월 5∼13일 전국 18세 이상 선거권자 25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투표행태와 정치 심리, 사회적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했습니다.
선거가 가져온 심리적 치유 효과
고려대 강우창·한규만·강준 교수 연구팀은 '민주주의와 정신건강 : 선거를 통한 치유' 부분을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우울증 검진 도구(PHQ-9)를 활용해 유권자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했는데요. 이 도구는 27점 만점에 10점 이상을 받으면 우울증으로 정의합니다.
분석 결과, 대선 이전에 6.41점이던 우울증 점수가 대선 이후 5.74점으로 0.68점 낮아졌습니다. 또한 10점 만점에 5.43점이던 민주주의 만족도 역시 대선 이후 5.71점으로 0.27점 상승했습니다.
대선에서 승리한 이재명 당시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유권자들에게서도 우울감 개선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지난 대선은 정치적 혼란 속에 유권자들이 느꼈던 우울감을 해소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같은 학술회의에서 고려대 박선경·유금희 교수는 '젠더 인식과 대통령 후보 평가' 부분을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대선후보 TV 토론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당시 후보가 여성 신체와 관련해 논란성 표현을 인용한 것이 유권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평가했습니다.
분석 결과, 이 후보의 발언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답한 유권자보다 '여성혐오적이고 폭력적인 발언이었다'고 응답한 유권자 사이에서 호감도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선 전후를 비교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