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닥터헬기, 6년간 1800명 이상 생명 구한 '하늘 위 응급실'
경기도의 닥터헬기가 지난 6년여 동안 총 1843회 출동하며 1804명의 중증외상환자를 구조해 골든타임 확보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9일 경기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아주대학교병원과 협력해 운영 중인 닥터헬기는 2025년 6월 기준 누적 출동 1843건을 기록했다. 특히 2024년에는 573건 출동으로 전국 8대 닥터헬기 중 최다 출동 실적을 달성했다.
경기도 닥터헬기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24시간 365일 운항 체계를 갖추고 있어 야간이나 심야 시간대 발생하는 응급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 '하늘 위 응급실'은 대동맥 파열, 복부·흉부 손상, 골반 골절 등 골든아워가 생명과 직결되는 중증외상환자 이송에 집중적으로 투입되고 있다.
생명을 구하는 결정적 순간들
닥터헬기에는 외상외과 전문의가 탑승하며, 심전도 모니터, 자동 심장압박장치, 인공호흡기 등 필수 응급의료 장비를 완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 인력과 장비 덕분에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지난 3월 이천에서는 교통사고로 비장 파열과 장간막 동맥 손상을 입은 55세 여성이 사고 발생 28분 만에 현장에 도착한 닥터헬기를 통해 아주대학교병원으로 신속히 이송되어 응급수술 후 생명을 건졌다.
또한 6월 안성에서는 흉부 대동맥 손상이 의심된 31세 남성이 사고 발생 54분 만에 병원에 도착해 시술을 받고 현재 회복 중이다.
닥터헬기 출동은 119종합상황실과 아주대학교병원 항공의료팀이 기상 조건, 접근성, 환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탑승 의료진은 출동 즉시 산소 공급, 수액 주입, 출혈 제어 등 생명 유지를 위한 응급 처치를 실시한다.
인계점 확대로 효율성 높이는 노력
경기도는 닥터헬기 운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시설 및 고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인계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인계점은 닥터헬기가 응급환자를 의료진에게 인수하거나 인계하기 위해 사전에 선정한 지점을 말한다.
최근에는 평택 LG전자 디지털파크, 이천 하이닉스 반도체단지, 고속국도 김포~파주 간 건설공사 현장 등에 새로운 인계점을 추가로 지정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경기도 닥터헬기는 24시간 생명을 지키는 응급 이송 체계로, 교통사고와 외상 사고가 잦은 여름철에 더욱 그 가치가 빛난다"며 "앞으로도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와 골든아워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기 닥터헬기, 이국종이 제안하고 이재명이 응답
한편 이 같은 닥터헬기 체계는 2018년, 이국종 교수가 "야간 중증외상 수송 시스템이 절실하다"고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경기도 행정을 책임지던 이재명 경기지사가 즉각 화답해 24시간 운항체계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예산을 집행했다.
경기도 닥터헬기는 2019년, 전국 최초로 야간까지 출동 가능한 상시 운항 시스템으로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