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美 부통령 창립 '록브리지' 아시아 총회장 내정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미국 정치·기술계 거물들이 주도하는 보수 성향의 기부자 네트워크 '록브리지(Rockbridge)'의 아시아 총회장직을 맡을 전망이다.
록브리지는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보수 칼럼니스트 크리스토퍼 버스커크가 2019년 공동 설립한 정치 후원 단체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을 돕는 핵심 플랫폼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 25일 재계에 따르면, 록브리지는 최근 아시아 지역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한국, 대만, 일본에 각 지부를 설립하고 현지 경제계 인사들을 이사진으로 영입 중이다.
한국에선 정 회장이 아시아 총회장을, 대만에선 리차드 차이 푸본그룹 회장이 록브리지 대만 대표를, 일본에선 타다시 마에다 일본국제협력은행(JBIC) 회장이 일본 이사장직을 각각 맡기로 했다.
페이팔 창업자·머스크 등 거물 후원...정계 라인업도 화려
록브리지는 설립 초기부터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와 보수 진영의 전략가들을 중심으로 급속히 세를 불렸다. 피터 틸 페이팔 창업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트럼프 대통령에게 비트코인 100만달러를 기부한 윙클보스 형제 등 테크업계의 '빅네임'들이 이 단체의 주요 후원자로 이름을 올렸다.
또한 데이비드 삭스(前 트럼프 행정부 AI·암호화폐 정책 책임자), 투자업계의 레베카 머서,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 등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실세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정 회장이 록브리지의 아시아 총회장을 맡게 되면, 한국은 물론 동아시아 전체에서 이 단체의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회장 측, 美 요청 사실 인정... "수락 여부는 신중히 검토 중"
정 회장의 록브리지 합류는 미국 측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확인됐다. 재계 한 관계자는 "미국 측이 정 회장에게 아시아 총회장 역할을 공식 제안한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정 회장이 공식적으로 이를 수락했는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록브리지는 아시아를 새로운 전략 축으로 삼고 보수 성향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번 아시아 지부 출범은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국제 보수 연대가 경제계를 중심으로 본격 재편되는 흐름 속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 회장의 최종 결정이 향후 신세계그룹의 글로벌 행보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