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오는 2025년부터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 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5년 환경부 보조금 정책에 발맞춰 배터리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완성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3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같은 내용은 지난달 26일 발표됐으나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지난 1일 인천시 서구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 1층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해 재조명됐다.
환경부가 꼽은 주요 배터리 안전정보는 배터리 전압·전류·온도와 배터리 충전 상태(SOC) 및 열화 정보(SOH) 등 7가지다.
환경부는 안전 정보 제공 참여 희망 제조사를 대상으로 증빙 절차를 진행한 뒤 내년 국비보조금에 반영할 계획이다.
배터리 정보 공개로 소비자 신뢰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환경부 보조금 규정에 맞게 배터리 안전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에 현대차그룹의 부담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제원에 배터리 제조사를 직접 표시하진 않지만 지금도 고객 문의가 오면 제조사 정보를 투명하게 알리고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정보가 공개되면 이를 분석해 화재 발생 가능성과 같은 이상 징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운전자 등에게 미리 알려 사고를 미리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미래의 잠재 고객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제적인 정보 공개가 자사 전기차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는 한편 소비자들의 신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전기차 보조금 30만원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반면 그동안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하지 않았던 수입차 업체들은 상대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엔 이미지 타격도 불가피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