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정부가 한국전력공사에서 독점하는 전력망 사업을 민간에도 개방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한국전력이 민영화되면 전기세 지옥이 펼쳐질 것"이라는 경고 글이 나왔다.
지난 28일 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 블라인드에는 '진짜 한전 못 본 척하면 안 된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한전 발전공기업 한국중부발전의 직원이라고 밝힌 A씨는 "(한전이 민영화되면) 전기료가 한 달에 수십만 원씩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민영화로 회사가 분할되면 현장직 직원들이 파업할 때마다 나라 일부가 정전될 것"이라며 "전기는 저장이 안 되고 수요에 맞게 제때 공급해야 하므로 나라에서 관리하는 게 맞다. 절대 민영화하면 안 되는 것이 전기 인프라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A씨는 "인터넷에선 한전 경영상태가 좋지 않은데도 성과급을 받는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공기업은 성과급이 월급 자체라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그런 식의 비난을 가하는 무지한 사람들을 보면 못 본 척하지 말고 한전에 우호적인 여론을 만들기 위해 도와 달라"고 덧붙였다.
A씨가 언급한 '한전 민영화'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전력망 사업 민간 개방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그간 한전이 독점해 온 전력망 구축 사업을 민간에 개방한다는 방침을 시사한 바 있다.
누적 적자가 200조 원에 달하는 등 심각한 재무위기를 겪고 있을뿐더러, 발전 자체보다 전력망을 제때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방침은 다음 달 초 '전력계통 혁신대책'에 담길 전망이다.
해당 글이 공개된 이후 일각에서는 '실질적인 한전 민영화’라는 주장이 나온다. 공기업이 독점하던 사업권을 민간에 일부 개방하는 것 자체가 민영화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한편 A씨의 글을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일각에선 "어차피 이대로 내버려 두면 한전채가 지속적으로 풀려 금리도 올라가고 서민만 고통받을 것"이라며 민영화는 필연적 조치라는 의견이 나왔다.
반면 "민간 자본이 들어서면 전기료가 빠르게 인상될 것"이라며 "다리나 고속도로 등의 사례를 보면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곳의 이용료가 훨씬 비싸다. 전력사업 분야도 비슷한 길을 걷게 될 거다"라고 우려를 보내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