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대학가 주변 임대업자들이 대학생들의 월세 걱정을 줄이겠다는 목적으로 추진되는 '반값 기숙사'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6일 SBS '8뉴스' 보도에 따르면 월세가 부담인 대학생들을 위해 월 30만 원 정도만 받는 '반값 기숙사'의 진행이 더딘 상황이다.
예정보다 개관이 늦어지는가 하면, 부지 확보를 하고도 기숙사를 짓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교육부와 국토교통부는 공동으로 대학생들의 주거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각 지역에 행복 기숙사를 건립하고 있다.
올해 서울의 주요 대학가 10곳의 평균 월세 가격은 약 60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3.5% 증가했다.
보통 원룸 자취방은 보증금 1천만 원에 관리비 포함 월세 70만 원까지 들어간다.
반면 반값 기숙사는 관리비를 포함해 30만 원가량만 내면 된다. 기숙사 내 독서실과 헬스장 등 편의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지난 14일 서울 성북구 동소문에 기숙사비 34만 원을 내면 되는 기숙사가 개관했다. 그러나 이는 당초 예정보다 4년이나 늦어진 개관이다.
대학가 주변에 세워지다 보니 기존 임대업자들의 반발이 거셌고 학생들이 많아지는 것에 대해 주민들도 탐탁지 않아 하면서 민원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또 서울 성동구에 추진되던 다른 기숙사는 어렵게 부지를 확보했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아예 건립이 무산되기도 했다.
소식을 들은 누리꾼들은 "돈이 안 되니까 반대하네", "학생들 부담 좀 덜어주자는데 그걸 반대하냐", "30만 원도 적은 돈 아닌데 70만 원 너무 심하다", "서울 월세 심각하다", "반값 기숙사 많이 생겨서 좋아했는데 이걸 반대하고 있었네", "임대업자들도 누군가의 부모 아닌가"라며 민원을 제기한 이들을 지적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학교에서 해야 할 일 아닌가", "그들도 생계가 달린 일인데 반대할 수 있다"라는 반응도 있었다.
이에 한국장학재단과 사학진흥재단 등 반값 기숙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재단은 유휴 철도 부지나 폐교 등을 확보하기 위해 나섰다.
주민들의 민원을 피해 대학가 주변이 아니더라도 지하철역이 가까운 부지에 반값 기숙사를 확대하겠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