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올해 수능이 끝나고도 어김없이 수험생 민원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21일 수능 부정행위로 적발된 한 수험생의 학부모가 감독관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찾아가 피케팅 시위를 벌였다.
23일 조희연 서울시 교육청 교육감은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조 교육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감독관의 신원을 개인적으로 확보해 협박하고 학교 앞에서 피케팅을 하는 행위는 매우 잘못된 이의 제기 방법"이라며 글을 남겼다.
이어 "수능 감독 선생님을 위협하는 불법적인 행위에 고발 조치를 포함하여 단호히 대처하겠다"라고 밝혔다.
실제 매년 수능이 끝난 뒤 감독관으로 입회했던 교사들 상당수가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수험장에서 일어난 일 때문에 우리 아이가 시험을 망쳤다'는 학부모 민원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수능이 끝난 후 '감독관 기지개 켜는 소리에 시험을 망쳤다', '종이 넘기는 소리가 너무 크다' 등 다소 황당한 민원도 이어진다는 전언이다.
이에 대해 서울교사노동조합 측은 "현재 교육부에서 만들어 나눠주는 수능 감독관 메뉴얼에도 학부모로부터 공격받을 경우에 대한 내용은 따로 없다"며 "그런 일이 발생했을 때 교육부, 교육청에서 신속하게 대응해서 법대로 처리를 해줘야 한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