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종로구 광장시장이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16일 한 유명 여행 유튜버의 영상이 확산된 게 시작이었다.
해당 유튜버는 이날 베트남 지인 2명과 함께 광장시장을 찾았다.
이들은 전 판매점에 착석한 뒤 1만 5천 원짜리 모둠전을 주문했다. 그런데 모둠전은 한눈에 봐도 그 양이 적었다.
비교적 작은 크기의 전 10여 개가 그릇에 담겨 나왔으며, 상인은 "양이 조금밖에 안 되니까 추가로 주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외국인 손님들은 "유명한 시장이라 비싼 것 같다"라며 당황한 표정을 짓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전집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고 계좌이체를 요구하기도 했다.
논란이 확산된 것은, 이 같은 영상에 공감한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였다.
영상 시청자들은 "나도 다녀왔는데 계좌이체도 거부하고 현금 달라더라", "양 적고 비싸졌다", "인기 많아지니까 몇몇 가게가 바가지라고 느낄 정도로 양을 줄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논란이 커지자 광장시장 상인회가 나섰다.
상인회는 지난 22일부터 해당 가게에 10일간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상인회는 후속 대응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광장시장 내 먹자골목 상인연합회 관계자는 조선일보에 "가격 정찰제로 판매 가격은 고정된 상태에서 가파르게 오르는 물가 때문에 내용물을 줄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라고 추측하며 "내부적으로도 저울을 도입해 음식 중량을 일괄적으로 맞추는 방안 등 여러 조치를 검토 중"이란 말을 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