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8일(금)

전동 킥보드 사망사고 5년 새 10배 급증..."제발 단속 좀 잘해주세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전동 킥보드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킥보드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되고 있지만 현장 인력 부족 등으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전국 전동 킥보드 사고 건수는 2018년 225건, 2019년 447건, 2020년 897건, 2021년 1천 735건, 2022년 2천386건 등 10배 넘게 급증했다.


사망자는 같은 기간 4명에서 26명으로 6.5배로, 부상자는 238명에서 2천684명으로 11배나 증가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전동킥보드 교통사고가 증가하면서 지난 2021년 도로교통법이 개정됐으나 운전자가 이를 지키는 것은 사실상 확인하기 힘들다.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만 16세 이상, 제2종 원동기장치 이상의 운전면허증 보유자만 전동 킥보드를 운전할 수 있다.


또한 헬멧 미착용 2만원, 2명 이상이 같이 타면 4만원의 범칙금을 부과한다.


그럼에도 이를 제대로 알고 전동 킥보드를 타는 이용자도 적은 것이 현실이고, 단속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한편 프랑스 파리에서는 주민 투표를 통해 공유 전동 킥보드 사업이 전면 금지되기도 했는데, 이같은 소식에 국내에서는 "우리도 없애자"는 목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지난 4월 20개구 주민 대상 투표를 실시한 결과, 프랑스 시민 89%가 서비스 폐지에 동의했고 시 당국은 투표 결과에 따라 9월 1일부로 공유 전동 킥보드를 전면 금지했다.


이에 따라 파리에 있는 약 1만 5000대의 공유 킥보드가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