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정부가 식당·카페에서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하는 규제 계도 기간을 무기한 연장했다.
이 가운데 계도 기간이 끝나면 종이 빨대로 전면 전환될 것을 기대하던 종이 빨대 회사들이 존망의 기로에 섰다.
지난 7일 헤럴드경제는 종이 빨대를 만드는 A업체의 대표가 11명이었던 직원을 모두 퇴사 처리하기로 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날은 환경부가 식당과 카페 등 매장 내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규제하는 계도 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한다고 발표한 날이다.
보도에 따르면 환경부 플라스틱 단속 무기한 유예 발표 이후 A업체에는 이미 사 간 종이 빨대를 환불할 수 없느냐는 문의가 쏟아졌다.
심지어 공장 창고에는 종이 빨대 재고 3000만 개가량이 쌓여있다고 한다.
기존에 연간 1~2억 개씩 주문하는 대형 프랜차이즈에 맞춰 120만 개 수준으로 일 생산량을 늘렸기 때문이다.
예정대로 계도 기간이 끝났다면 열흘도 안 돼서 다 풀릴 물량이지만 현재는 먼지만 쌓이고 있다.
A업체의 대표는 "종이 빨대가 주목받기 시작하던 지난해에는 공장 앞에 줄을 설 정도였다"며 현 상황을 하소연했다.
종이 빨대를 생산하는 다른 업체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계도 기간이 무기한 연장되면서 창고에 1500만 개가 넘는 종이 빨대가 쌓였고, 당장 이자 낼 돈도 없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환경부는 미리 대체품을 준비했던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지만 제조 업체들에 대한 피해 보상 계획은 따로 밝히지 않았다.
이번 발표로 대체품 업계에서는 산업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지며 환경부의 지원이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이날 환경부는 브리핑에서 "종이 빨대는 가격이 플라스틱 빨대의 2.5배 이상인데도 쉽게 눅눅해져 음료 맛을 떨어뜨린다. 이 때문에 커피 전문점은 비용을 들이고도 소비자 불만을 들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와 젓는 막대 사용 금지 조처에 대한 계도기간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