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재정·경영적 한계에 다다른 대학들이 속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4년제 지방대학은 214개 대학교 중 정부의 재정 지원 주요 기준인 신입생 충원율 80%를 못 채운 대학이 44곳에 이른다.
지방대 5곳 중 1곳이 신입생 정원 80%를 채우지 못한 셈이다.
올해 정시모집에서는 14개 지방대 26개 학과에서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다. 재정이 부실해 대학으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한계대학도 84곳으로 증가했는데 이 중 62개가 지방대다.
지방대는 한 명이라도 더 뽑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조금이라도 서울에 가까운 대학으로 갈아타기를 하느라 바쁘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 2021년 4년제 지방대 중도 포기 신입생은 1만 5540명으로, 전체 신입생 중도 포기 학생의 60.6%에 달한다.
문제는 해가 갈수록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올해 대학 입학 연령인 2004년생은 47만 7000명이지만 내년에 대학에 가는 2005년생은 43만 8000명으로 올해보다 4만 명가량 줄어든다.
2000년 이후 폐교된 전국 대학은 20개다. 1개 대학을 제외하고 모두 지방대로 자진 폐교는 6개 학교, 강제 폐교는 14개 학교였다.
서울대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원이 지난 2021년 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령인구 감소로 2042~2046년 국내 대학 385개 중 49.4%만 살아남고 나머지 195개 학교는 사라진다.
신입생이 줄어들고 학교가 폐교되면 주변 인구도 줄어 지역이 슬럼화되면서 지역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중이다.
관계자들은 지방대의 위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한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