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생, 연금 보험료 1천만 원 더 내지만..."연금은 약 8,000만 원 적어"
[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현행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유지할 경우 2020년생은 1970년생보다 연금 보험료를 1,000만 원 이상 더 내지만 받는 연금액은 약 8,000만 원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국민연금연구원이 발표한 '국민연금제도 내 청년층의 다중 불리 경험과 지원방안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코호트별 총 급여액을 연구한 결과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0%인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20년생은 1970년생에 비해 평생 받는 연금액이 약 7,944만 원 더 적다.
하지만 평생 내야 하는 금액인 총 보험료액은 오히려 2020년생이 1970년생보다 약 1,255만 원 더 많았다.
이는 1970년생과 2020년생이 적용받는 연금제도를 반영해 도출한 결과다.
연구진은 국민연금제도 개편 모델도 제안했다. 보험료율 12%, 소득대체율 45%인 1안과,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인 2안을 각각 설정했다.
그 결과 1안을 적용할 경우 2020년생은 1970년생보다 보험료를 4,763만 원 더 내지만 연금액 격차는 5,581만 원으로 감소한다.
2안을 적용하게 되면 2020년생은 1970년생보다 6,050만 원을 더 내지만 연금액 격차는 3,408만 원으로 더 줄어든다.
연구에 따르면 청년층의 보험료 납부율은 44.3%로 비청년층 69%보다 24.7% 낮다. 사각지대 비율도 청년층은 55.7%에 달해 비청년층 31.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연금을 가입할 수 있는 초기 연령대인 18~24세 청년의 사각지대 비율은 2020년 기준 82%로, 해당 연령대 10명 중 8명 이상은 국민연금 가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생애 최초 연금보험료 지원 제도를 도입해 만 18세가 되면 자동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도록 하고 미납부 기간은 취업 후 추후납부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세대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부담 증가에 초점을 둔 재정안정화 조치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혜택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며 "기존의 보험료 지원 및 크레디트 제도를 강화하고, 청년기의 노동시장 및 연금제도 내 지위와 특성에 부합하는 신규 지원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