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올해 전국 집값 상승률이 국제통화기금 IMF 외환위기 직후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던 시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값이 약 21% 급등하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6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의 월간 주택매매가격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가격 상승률은 1.52%를 기록했다.
월간 단위로 2006년 12월(1.86%) 이후 14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1~9월 누적 상승률은 11.98%에 달했다. 이는 부동산 폭등기로 불린 2001년(9.87%)과 2006년(11.6%)의 연간 상승률을 훌쩍 넘어선 수준이다.
2001년은 IMF 외환위기 이후 줄어든 주택 공급과 저금리로 늘어난 유동성,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집값이 크게 뛰었던 시기다.
2006년은 판교, 위례 등 2기 신도시 개발과 함께 일명 '버블세븐'(강남권 3구·목동·분당·평촌·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치솟았다.
아파트만 살펴보면 상승세는 더 가파르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올해 9월까지 20.88% 상승해 2001년(19.19%)의 연간 상승률을 이미 추월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역대 최고치인 2006년 연간 상승률(24.61%) 마저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에도 수도권 아파트값은 12.51%를 기록하며 크게 올랐는데, 올해는 상승률이 지난해의 2배에 달하게 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3.46%)보다 인천(25.72%)과 경기(24.39%)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인천의 경우 KB가 1986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연간 상승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01년(26.26%)의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오산(39.21%), 시흥(37.41%), 동두천(36.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