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석태진 기자 = 아시안게임의 부실 운영에 또 한 번 발목 잡힌 한국 선수들이 분노를 삭인 채 돌아섰다.
1일 아시안게임 유도 대표팀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혼성단체 8강전에서 일본과 맞붙었다.
이날 8강전에서 팽팽한 접전을 펼친 한국과 일본은 결국 3대3 무승부를 기록했다.
규정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점수로 승패를 결정해야 한다. 한판승은 10점, 절반승은 5점, 지도(반칙)승은 0점.
한국은 안창림과 곽동한의 한판승, 김민정의 지도승을 앞세워 20점을 확보했고 일본은 한판승 1개와 반칙승 2개를 묶어 10점을 얻는데 그쳤다.
당연히 한국의 승리가 선언돼야 하는 순간 심판진은 한국의 한판승을 절반승으로 낮추고, 0점짜리 일본의 지도승을 10점으로 정정했다.
결국 최종 스코어는 11대20이 됐고 한국은 패자부활전으로 떨어졌다.
유도 대표팀 금호연 감독은 "갑자기 지도승을 10점으로 매긴다고 하더라"라며 "우리는 이런 규정을 전혀 듣지 못했다"며 분노를 표현했다.
반면 일본 측은 지도승을 10점으로 인정한다는 규정을 알고 있는 듯했다.
결론적으로 주최 측이 처음부터 설명을 잘못했거나 한국 대표팀이 규정을 잘못 인지하고 대회에 참가한 상황.
하지만 한국 대표팀이 규정을 잘못 인지하고 있더라 하더라도 지도승이 한판승과 동일한 점수를 받는다는 건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또한 일본의 지도승 2개 가운데 1개만 점수로 인정됐다는 점과 한국의 지도승은 점수로 인정되지 않았다는 점 또한 모순적이다.
일단 선수들을 추스른 금호연 감독은 "억울하다. 상황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보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 유도 대표팀은 지난달 30일에도 심판의 석연찮은 판정에 금메달을 빼앗긴 바 있다.
당시 73kg급 결승에 참가했던 안창림은 은메달을 목에 건 채 아쉬움의 눈물을 펑펑 흘리며 전 국민의 마음을 짠하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