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원인, 노후 배터리와 안전수칙 위반 가능성 모두 제기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의 원인을 두고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화재 발생 지점인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권장 사용기간을 1년이나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노후화에 따른 안전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뉴스1
지난 27일 행정안전부 공개 자료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UPS용 리튬배터리는 2014년 8월에 도입되어 11년간 사용되었습니다. 이 배터리의 표준 사용기한은 10년으로 이미 교체 시기를 넘긴 상태였습니다.
전문가들은 UPS 배터리가 권장 사용연한을 초과할 경우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안전성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행안부와 국정자원 측은 아직까지 배터리의 사용연한 초과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배터리 교체 작업 중 안전수칙 위반 가능성도 제기
또한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서도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 시점에 작업팀 13명이 5층 전산실의 서버와 함께 설치된 UPS 배터리를 지하 공간으로 이설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뉴스1
총 4차례로 계획된 이전 작업 중 3차 작업에서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에서 화염이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배터리 이설 과정에서 표준 작업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배터리 이전 작업은 전원 차단 후 케이블을 분리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하는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배선을 제거하다 합선이 발생해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입니다.
한편 소방당국은 27일 오후 6시경, 화재 발생 22시간 만에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에 대한 완전 진화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행안부, 국정자원, 소방서, 경찰 등 유관기관들이 합동으로 정밀한 원인 분석과 피해 범위 산정 작업에 착수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