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고래축제 의전 논란
울산 남구청이 '울산 고래축제' 개막식을 앞두고 소속 공무원 300여 명을 강제 동원해 '1대1 의전'을 진행하려던 계획이 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남구청은 결국 이 계획을 철회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남구청은 22일 오전 축제 준비 회의에서 당초 계획했던 의전 교육과 1대1 의전을 모두 취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신 구청 총무과와 교류 도시 담당 직원 등 필수 인력 40여 명만 내빈 안내에 투입하고, 행사장 질서 유지는 전문 경호업체에 맡기기로 했습니다.
이번 논란은 남구청이 전체 공무원 900여 명 중 294명에게 의전 근무를 통보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남구청이 발송한 공문에는 "고래축제 성공적 개최를 위해 불가피하게 의전 근무 대상자를 지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는데요. 구체적으로는 국내외 교류 도시 귀빈 담당 공무원 38명, 1대1 의전 217명, 개막식장 안내 39명 등이 동원 대상이었습니다.
공무원들의 불만과 시민들의 비판
평일 저녁 개막식과 주말 폐막식까지 추가 근무를 요구받은 공무원들은 강한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특히 의전 대상에 자유총연맹, 바르게살기, 새마을운동 등 관변단체 인사들까지 포함되면서 "과잉 동원"이라는 비판이 거세졌습니다.
온라인에 유출된 울산 남구청 공문
온라인에서도 비판 여론이 확산됐습니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얼마나 귀하신 분들이 오길래 공무원을 1대1로 붙여주나, 명단을 공개하라", "의전에 미친 나라다", "공무원 탈출은 지능순이라더니... 공노비가 서럽네" 등 강한 비난을 쏟아냈습니다.
결국 300명을 동원하겠다던 계획이 40명으로도 충분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애초에 필요 없는 의전이었다"는 지적이 확산됐습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졸속이 아니라 보여주기식 행정이 문제였다"는 냉소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사 운영 방식과 공무원 인력 활용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특히 "공노비가 서럽다"라는 표현이 공감을 얻으면서, 공무원들의 근무 환경과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