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동물복지 강화 위한 5개년 종합계획 발표
경기도가 동물복지 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24일 경기도는 향후 5년간 2893억 원을 투입하는 '제3차 경기도 동물복지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경기도청북부청사 / 경기도
이번 계획은 동물복지 안전망 강화, 인프라 확충, 반려문화 확산, 영업 관리 및 연관산업 육성 등 4개 핵심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종합계획은 기존의 반려동물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농장 동물과 은퇴 봉사동물까지 정책 영역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경기도는 가축행복농장을 확대하고 은퇴한 봉사동물의 입양 및 장례 지원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동물복지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동물복지 인프라 확충과 안전망 강화에 집중
동물복지 안전망 강화 분야에서는 총 22개 사업에 1589억 원(도비 358억 원)이 투입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수의법의학센터 운영, 재난·긴급 동물구조, 동물등록제 지원, 실외사육견·길고양이 중성화 지원, 입양 전문센터 조성, 입양비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프라 확충 분야에서는 8개 사업에 686억 원(도비 346억 원)을 투입합니다.
동물보호센터 확충 및 운영 컨설팅 지원, 권역별 반려마루와 반려견 놀이터 확대, 동반 여가시설 조성, 민간보호시설 신고제 정착 및 환경 개선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직영보호센터를 현재 6개소에서 12개소로 2배 확대하고 반환·입양률을 43%에서 50%로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반려문화 확산과 산업 육성으로 동물복지 생태계 조성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반려문화 확산 분야에서는 7개 사업에 560억 원(도비 140억 원)을 투입합니다.
'반려동물의 날' 기념행사와 문화축제(PETSTA, 독스포츠 대회 등), 유치원·청소년·장애인 맞춤형 교육, 명예동물보호관 확대(2029년까지 450명), 동물복지위원회 운영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2027년 2월까지 개식용 종식을 추진하고 맹견사육허가제 및 기질평가 운영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연관산업 육성 분야에서는 4개 사업에 58억 원(도비 58억 원)을 배정했습니다. B2B(기업 간 거래) 박람회 개최, 스타트업 발굴·전문가 양성, 전시관 운영, 공공장묘시설 확충 등을 통해 반려동물 산업의 건전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반려마루 화성 내 고양이 입양센터 / 경기도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중앙정부의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과 보조를 맞추되, 경기도의 현장 여건을 고려한 경기도형 동물복지 정책을 강화해 실행력을 높였다"며 "이번 계획을 통해 경기도가 전국 동물복지의 선도 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기도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반려마루·놀이터 등 친화공간을 대폭 확충하고 평생교육을 연간 2만 명 규모로 운영하는 등 반려문화 기반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총 소요 예산 2893억 원(도비 902억 원 포함)을 투입해 중앙정부 계획과 연계하여 경기도형 동물복지 정책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