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징후 이미 접수... 뒤늦은 확인 도마 위에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확산하기 전부터 KT 고객센터에 관련 피해 신고가 여러 차례 접수됐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당국의 수사가 본격화되기 전에 이미 피해 정황이 있었지만, KT가 즉각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사진 = 인사이트
지난 2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T 고객센터에는 지난달 27일 2건을 비롯해 이달 2일까지 총 6건의 소액결제 피해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고객센터에 6건 접수... KT는 경찰 의뢰 뒤에야 확인
그러나 KT는 이달 1~2일 경찰이 소액결제 피해 사례 분석을 의뢰한 뒤에야 해당 민원 6건에서 비정상 결제가 이뤄진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당국이 수사에 착수하기 전까지 통신사가 고객 신고를 방치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됩니다.
박 의원은 "경기도의 경우 같은 시간대에 인근 지역에서 다수의 신고 전화가 몰리면 자동으로 비상상황 경보를 발송하는 '대형재난 발생 알리미' 시스템을 운영한다"며 "KT와 같은 대형 통신사도 유사·중복되는 고객 신고를 신속히 파악하고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인사이트
피해 현황... "수백 건 이상 접수"
현재 경찰과 방송통신위원회에 접수된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수백 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피해액 역시 개인별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에 이르는 등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 결제 오류가 아닌 조직적 해킹이나 불법 정보 유출과 연계됐을 가능성이 높아, 금융·통신 업계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