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길어지면서 지출 부담 증가
올해 추석 연휴가 길어지면서 소비자들의 명절 지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20일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발표한 '2025년 추석 지출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추석 전체 지출 예산은 평균 71만2300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추석 5일 연휴 때의 56만3500원보다 14만8800원(26.4%) 증가한 금액입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연휴 기간이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물가 상승과 부모님께 드리는 효도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일평균 지출액으로 계산하면 지난해 11만2700원에서 올해 10만1800원으로 오히려 감소했지만, 총 지출 부담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대상 소비자의 62.4%는 작년 대비 예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응답했으며, 8.2%는 두 배 이상 지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세부 예산 내역을 살펴보면, 부모님 용돈과 선물비가 38만6100원으로 전체 예산의 54.2%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습니다. 이어서 차례상 비용(29만4600원), 친지·조카 용돈(27만400원), 내식 비용(24만7200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변화하는 명절 문화와 소비 패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추석 연휴 활용 계획에서도 변화가 감지됐습니다.
'집에서 가족과 휴식'(46.8%)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여 전통적인 '귀성'(36.4%)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국내여행 계획(23.2%)이 해외여행(5.7%)보다 4배 높아 경제적 부담을 고려한 선택이 두드러졌습니다.
응답자의 24%는 연차를 활용해 8일 이상의 초장기 연휴를 계획 중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휴를 연장하는 이유로는 충분한 휴식(49.6%), 국내여행(32.5%), 가족과의 시간(29.6%)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경제적 부담 증가는 차례상 문화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전통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응답은 13.3%에 그쳤고, 간소화(40.2%), 차례를 지내지 않음(23.5%), 가족식사로 대체(22.7%) 등 86.4%가 변화를 시도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간소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차례상 예산은 29만4600원 수준을 유지해 실질적인 비용 절감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별 경제적 부담과 소비 선택
추석 음식 품목별 부담도에서는 과일이 3.94점(5점 만점)으로 가장 높았고, 축산물(3.64점), 수산물(3.55점)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과일은 수입산 구매 고려 비율이 13.3%에 그쳐 "비싸도 국산"이라는 인식이 강한 반면, 축산물은 22.5%가 수입산 구매를 고려한다고 답해 상대적으로 현실적인 소비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86.0%가 긴 연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세대별로는 40대의 부담감이 71.1%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38.6%로 가장 낮아 경제활동 주력층에 부담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이번 조사 결과는 한국 사회의 명절 문화가 개인화·다양화되고 있지만, 가족 관계 유지 비용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추석을 앞두고 물가 안정 캠페인과 성수품 원산지 조사를 실시해 소비자 보호와 합리적 소비문화 확산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