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뽑기방 6000곳 육박... 민원도 급증
요즘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형뽑기. '한 판만 해야지' 했다가 순식간에 지갑에서 1만원이 사라지는 경험, 해본 적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이유가 있었습니다.
19일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이 게임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인형뽑기방을 포함한 청소년게임제공업소는 총 5957곳으로, 최근 2년간 약 20% 늘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사양세를 보인 오락실과 달리, 새로 생겨난 업소 상당수가 인형뽑기방이었던 셈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게임위는 카드 결제 기능과 무인 운영을 통한 저비용 창업, 경기 침체 속 '가성비 놀이문화' 확산을 배경으로 인형뽑기방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업소에서는 심의를 거치지 않은 고가 경품을 넣거나, 집게발·배출구를 임의 변경해 참가자가 쉽게 인형을 뽑지 못하도록 하는 꼼수까지 등장했습니다.
확률 조작 의혹 끊이지 않아
현행 게임산업법상 인형뽑기도 아케이드 게임의 일종으로 분류돼 기기 제원과 게임 방법 등을 제출하고 게임위의 등급분류를 거쳐야 합니다.
등급을 통과한 기계 대부분은 '누구나 같은 조건에서 즐길 수 있으며 우연성이 없다'는 취지로 설명돼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집게 힘이 지나치게 약하거나, 일정 횟수 이상 돈을 넣어야 집게 힘이 강해지는 방식으로 '확률 조작'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습니다.
국민신문고에 접수된 관련 민원 건수는 2022년 42건에서 2023년 12건으로 줄었다가, 2024년 21건, 2025년 8월에만 24건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습니다.
게임위는 "출입·조사 위탁업무 시 경품 종류와 지급 기준, 제공 방법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강화하고, 지자체·경찰 요청이 있을 경우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청소년 사행성 노출 우려"
진종오 의원은 "인형뽑기는 단순한 오락처럼 보이지만, 무작위성과 확률 조작 등 사행성 요소가 숨어 있어 청소년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게임위가 사행성 평가, 확률 조작 실태조사, 해외 규제 현황조차 파악하지 않아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