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에서 낙석 발생, 인명피해 없어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제주 성산일출봉에서 지름 70~80cm 크기 암반 낙석이 발생했으나,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6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전날 밤 8시 43분경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성산일출봉에서 "무너지는 소리가 들린다"는 행인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소방과 경찰로 구성된 대응단이 현장을 확인한 결과, 성산일출봉 등산로 서쪽 1km 지점인 진지동굴 인근 접근금지 구역에서 지름 70~80cm 크기의 암반 2개와 나무 3그루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암반과 나무는 낙하지점에서 약 3m 위에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
경찰과 소방, 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 서귀포시는 즉시 해당 구역에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하고, 추가 낙석 가능성과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낙석 사고는 사실상 이틀 전에 이미 예고되어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지난 13일 오전 11시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 시스템을 통해 기상청 강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측정한 결과,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지역에 산사태 예측 정보 주의보 단계가 생성됐음을 제주도에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지방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2일 하루 동안 성산 지역에 내린 일강수량은 210.3mm로, 이는 지점별 역대 9월 강수량 중 4위에 해당하는 상당히 많은 양의 비였습니다.
산림청의 통보를 바탕으로 각 시·도 단위에서는 위기 경보 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산사태)를 발령하도록 되어있으나, 제주도는 산사태 경보 단계를 발령하지 않았습니다.
제주 성산일출봉 / 뉴스1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성산읍 지역은 광범위한 범위로, 우선 서귀포시에 관련 주의보 단계가 생성됐음을 알려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위기 경보 단계를 발령하지 않았다"며 "산사태는 산지가 일시로 붕괴되는 것을 의미하며, 성산일출봉은 가끔 낙석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국가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은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며, 제주의 절경 10가지를 일컫는 '영주십경' 중 제1경으로 꼽혀 많은 관광객이 찾는 인기 명소입니다.
성산일출봉의 규모는 해발고도 179m, 비고 174m, 둘레 2927m, 면적 453,030㎡에 달합니다. 이번 낙석 사고는 접근금지 구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일반 관광객들의 안전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