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톱배우 출연료에 상한선 도입
넷플릭스가 한국 톱배우들의 출연료에 상한선을 설정하며 '몸값 낮추기'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업계 소식에 따르면, 글로벌 스트리밍 거대 기업 넷플릭스는 최근 작품별 계약에서 배우들의 회당 출연료를 최대 3억원대 수준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과거 일부 톱배우들이 회당 4억~5억원, 심지어 8억원까지 받았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변화입니다.
넷플릭스(Netflix) 사진 제공
업계 관계자는 "작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넷플릭스가 사실상 출연료 상한선을 두고 당초보다 낮은 금액의 출연료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명 배우들은 여전히 넷플릭스 작품에 출연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습니다. 방송이나 영화관보다 글로벌 플랫폼인 넷플릭스에 대한 선호도가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입니다.
넷플릭스와 한국 드라마 제작비 상승의 관계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글로벌 부흥을 이끌었지만, 동시에 한국 드라마 제작비 상승의 주범이라는 비판도 받아왔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 드라마의 회당 평균 제작비는 3~4억 원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넷플릭스가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회당 제작비 20억 원이 흔한 현상이 되었고, 이 중 상당 부분이 배우 출연료로 지출되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제작비 상승은 자금력에서 열세인 국내 방송사와 토종 OTT 서비스의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2022년 141편이었던 드라마 제작 편수는 올해 80여 편으로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한편, 일각에서는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넷플릭스의 실적을 견인하는 점을 고려하면 수억 원대의 출연료가 결코 과도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콘텐츠의 성공에 힘입어 넷플릭스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 증가한 110억7900만 달러(약 15조4400억 원)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45%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약 5조2489억 원)에 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