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혼인 건수 2년 연속 증가... 결혼 10건 중 1건은 국제결혼
서울시민의 혼인 건수가 2년 연속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결혼의 10건 중 1건은 국제결혼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혼은 줄어드는 대신, 고령 이혼과 1인 가구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15일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 보고서를 통해 최근 혼인·이혼 추이와 가구 구조 변화를 발표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코로나19 확산기였던 2020년 혼인 건수는 4만 4746건에서 2022년 3만 5752건으로 크게 줄었으나, 2023년 3만 6324건으로 반등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6.9% 증가한 4만 2471건을 기록했습니다.
초혼 평균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과거보다 높아졌습니다. 이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청년층의 결혼 시기 지연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국제결혼 4000건 넘어... 국적별 차이 뚜렷
지난해 서울에서 신고된 국제결혼은 총 4006건으로 전체의 약 10%를 차지했습니다. 한국인 남편-외국인 아내 조합이 263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외국인 남편-한국인 아내는 1373건이었습니다.
국적별로는 한국인 남성이 외국인 아내와 결혼한 경우 중국과 베트남이 가장 많았고, 한국인 여성이 외국인 남편과 결혼한 경우 미국 국적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혼 줄고 고령화 뚜렷... 1인 가구 40% 육박
이혼은 2003년 3만 2499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이어왔고, 지난해에는 1만 2154건까지 줄었습니다. 다만 평균 이혼 연령은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2000년 대비 10년 이상 높아졌습니다. 황혼이혼 비율도 2000년 3%대에서 지난해 25%까지 늘었습니다.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66만 가구로 전체의 39.9%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인 가구(26.2%), 4인 가구(12.3%)보다도 많습니다. 과거에는 20대 청년층이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30~40대와 60대 이상으로 확산했습니다.
서울은 지난 7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0대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으며, 고령자 가구 비율은 이미 30%를 넘어섰습니다. 다문화 가구는 약 7만 8000가구, 가구원 수는 20만 명을 넘었고, 비친족 가구 역시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12만여 가구로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서울시는 1인 가구와 고령자 가구 증가에 대응해 맞춤형 돌봄·주거·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다문화 및 비친족 가구를 포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