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반정부 시위 확산에 따른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외교부가 네팔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와 관련하여 우리 국민들이 주로 방문하는 일부 지역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지난 10일 오후 5시부터 적용된 이번 조치는 수도 카트만두가 위치한 바그마티주와 서부의 룸비니주, 유명 관광지 포카라가 있는 간다키주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번에 발령된 특별여행주의보는 현지 치안 상황이 급격히 악화됐을 때 내려지는 조치로, 사실상 3단계 '여행자제'에 준하는 효력을 갖고 있습니다.
Pixabay
기존에 네팔 전역에 발효 중이던 1단계 여행경보(여행유의)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해당 3개 지역에 대해서는 한 단계 강화된 2.5단계의 특별여행주의보가 적용됐습니다.
외교부는 이에 따라 해당 지역으로의 여행 계획이 있는 국민들에게 일정을 취소하거나 연기할 것을 권고했으며, 이미 현지에 체류 중인 국민들에게는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고 가능한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SNS 차단에서 시작된 전국적 시위와 폭력 사태
네팔에서는 최근 정부가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엑스(X) 등 26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접속을 차단한 조치에 반발해 전국적인 시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위는 고위층 자녀들의 호화로운 생활상과 극빈층의 현실을 대비시킨 영상이 온라인에서 퍼지면서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한 것으로, 특히 10~30대 청년층이 시위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X 'bbcnepali'
시위대는 수도 카트만두의 대통령 관저와 국회의사당, 대법원 청사 등을 습격하여 불을 지르는 등 폭력 사태로 번졌으며, 일부 교도소를 공격해 수백 명의 수감자가 탈옥하는 사건까지 발생했습니다.
사태가 폭동 수준으로 악화되자 샤르마 올리 총리와 일부 장관들이 책임을 지고 사임했지만, 시민들의 분노는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네팔 군 당국은 도심 곳곳에 병력을 배치했으며, 경찰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수십 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네팔 인구 3000만 명 중 20% 이상이 빈곤층이며,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은 22%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통신 차단 문제를 넘어 그동안 누적된 경제적 불만과 정치인들의 부패에 대한 반감이 폭발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치안 불안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국민 여러분께서는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달라"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재외공관과 즉시 연락해 지원을 받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