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추석 벌초 때 조심하세요"... 벌 쏘임·뱀 물림 안전 사고 급증

추석 연휴 안전사고 급증, 벌 쏘임·뱀 물림 주의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벌초와 성묘 등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벌 쏘임과 뱀 물림 같은 안전사고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10일 소방청이 발표한 최근 5년간(2020~2024년) 추석 연휴 주요 사고 구급활동 통계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들의 증가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벌 쏘임 사고의 경우 지난 5년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총 1,474명의 환자가 119구급대에 의해 이송되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59명에 달하는 수치로 이 중 3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벌 쏘임은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사고가 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뱀 물림 사고 5년 새 두 배 증가, 교통사고도 심각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뱀 물림 사고의 급증입니다. 


2020년에는 26건의 출동에 2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나 2024년에는 54건의 출동에 52명의 부상자가 발생해 5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기후변화와 야외활동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귀성과 귀경 차량이 집중되는 추석 연휴 기간에는 교통사고도 크게 증가합니다.


최근 5년간 추석 연휴 동안 교통사고로 인한 구급 이송 환자는 총 1만2,038명으로 하루 평균 482명에 달했습니다. 이 중 1만1,955명은 부상을 입었고 83명은 심정지 상태로 이송되었습니다.


장거리 운전과 피로 누적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소방청은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 준수를 강조했습니다.


벌 쏘임 예방을 위해서는 산행 시 향이 강한 화장품이나 향수 사용을 자제하고 밝은색 계열의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은 어두운 색과 강한 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뱀이나 진드기에 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긴 소매와 발목을 덮는 옷, 장화 착용이 권장됩니다. 또한 예초기 사용 시에는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등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혼자가 아닌 두 명 이상이 함께 작업하는 것이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에 도움이 됩니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교통수칙을 준수하고 장거리 이동 시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안전운전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교통량이 평소보다 크게 증가하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image.png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