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스마트폰·반도체 등 상호관세 면제 결정
애플, 삼성전자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한시름 놓았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SSD,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상호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GettyimagesKorea
앞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는 125%, 다른 국가들에는 10%의 상호관세를 예고해 글로벌 IT 업계에 비상이 걸렸었다.
특히 자사 제품의 8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로선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애플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도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생산의 절반 가량을 베트남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베트남에 적용될 예정이었던 46%의 상호관세도 90일 유예된 데 이어 이번 면제 결정으로 불확실성이 크게 줄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뉴스1
글로벌 IT 기업들의 생산 전략과 관세 영향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이 단순한 관세 정책 수정이 아닌, 미국 내 채권시장 혼란과 IT 업계 반발에 따른 '전략적 후퇴'라고 보고 있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글로벌 기술 책임자는 CNBC에 "대형 기술기업 CEO들이 상호관세 시행 시 '아마겟돈'이 될 것이라며 강력히 반대했고, 백악관도 결국 이를 수용한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 기본 관세만 적용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 스마트폰 등 면제 조치로 한 발 더 물러선 셈이다.
다만 CNBC는 "향후 해당 품목들에 대해 별도의 관세 부과가 이뤄질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전하면서, "다만 중국산 제품에 적용된 총 145%의 초고율 관세보다는 낮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