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2026학년도 수능, 공교육 범위 내 출제... EBS 연계율 50% 유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1월 13일에 치러진다. 이번 수능에서도 '킬러문항'을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2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공교육을 열심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해결할 수 있는 난이도로 출제된다.
수능 문제와 EBS 연계율은 예년과 동일하게 50% 수준을 유지하며 EBS 교재의 그림, 도표, 지문 등을 적극 활용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를 높일 방침이다.
다만 올해도 재수생, 반수생 등 N수생의 대거 합류가 예상되는 만큼 '변별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뉴스1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성되며,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 역시 계속 유지된다.
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운영된다. 국어영역에서는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과 함께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선택해 총 45문항에 응시해야 한다.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와 함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총 30문항이 출제된다.
영어 영역은 총 45문항으로, 이 중 듣기평가는 17문항이며 25분 이내로 실시된다.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과목으로 총 20문항이 출제되며, 미응시자는 수능 성적통지표를 받을 수 없다.
탐구영역에서는 사회·과학탐구의 경우 17개 선택과목 중 최대 2개를,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할 경우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필수로 선택해야 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뉴스1
올해 수능부터는 수험생 편의를 위해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입력 시스템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수능 응시 수수료도 해당 시스템을 통해 가상계좌 방식으로 납부할 수 있게 된다.
시험실당 수험생 수는 28명 이하로 제한되며, 영역별 미선택자를 위한 별도 대기실이 운영된다. 수능 시행 세부 계획은 7월 7일 발표될 예정이다.
성적통지표에는 응시한 영역·선택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기재되며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시된다.
EBS와의 연계는 직접 문항을 옮기는 방식이 아닌 '간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과 원리를 활용하고 EBS 교재의 도표, 지문, 그림, 소재 등을 덜 변형하는 방식으로 수험생의 연계 체감도를 높일 계획이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하겠다"며 "공교육 범위 내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N수생 증가와 의대 모집인원 변동에 따른 난이도 조절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며 "상위권뿐 아니라 전반적인 학생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평가원은 수험생들이 올해 수능의 방향과 난이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6월 3일과 9월 3일 두 차례 모의평가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