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월)

8년 전 박근혜 파면 때 4명 사망... 경찰, '尹 탄핵 선고' 전 헌재 '접근금지' 조치

경찰,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때와 같은 사고 방지에 총력


윤석열 대통령 / 뉴스1윤석열 대통령 / 뉴스1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내려지는 날, 돌발 사태와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직후 헌법재판소 주변은 극심한 혼란에 휩싸였다. 지지자들은 경찰 버스 위로 올라가 각목을 휘두르고 유리창을 깨뜨렸으며, 경찰을 폭행했다.


일부는 차 키가 꽂힌 경찰 버스를 탈취해 차벽을 50차례 들이받는 등 폭력 사태가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4명이 숨지고, 경찰관 33명을 포함해 총 63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시 집회를 주도한 인사는 "오늘 헌재가 죽든, 우리가 죽든 돌격하자"며 참가자들을 선동했다. 그는 이후 대법원에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직후에도 이 같은 폭력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국민의힘 한 의원이 3.1절 탄핵 반대 집회에서 "헌재를 때려 부수자"고 발언하면서 여당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법원이 내란 수괴 혐의로 구속기소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를 인용한 7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7/뉴스1법원이 내란 수괴 혐의로 구속기소된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를 인용한 7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7/뉴스1


두 배 더 많은 병력 배치...헌재, 사실상 봉쇄 방침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됐을 당시 헌재 인근에서 발생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경찰은 전방위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다.


헌재 주변에는 이중, 삼중 차벽을 세우고,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두 배 많은 병력을 배치할 예정이다. 헌재 100m 반경을 사실상 봉쇄해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선고 전후 닷새 동안 경찰서에서 보관 중인 민간 소유 총기 8만여 정의 출고가 금지된다. 국회와 대통령 관저, 언론사, 여야 당사에도 경찰 병력이 배치될 예정이다.


경찰은 선고 당일 기동대 2만 명을 투입하며,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경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