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월)

전국 지하수 2000곳 조사해보니 '우라늄'까지 나와... 62%가 '먹지 못하는 물'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상수도 보급률이 98%에 달하는 대한민국에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지하수가 마시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상수도 미보급 지역 안심 지하수 수질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하수를 음용할 경우 2년에 한 번 수질 검사를 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수질검사 이행률은 가장 높았을 때도 3.8%에 불과했다.


2023년 기준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97.9%로, 전체 인구 중 지방·광역상수도로 수돗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사람은 전국적으로 2%에 불과하다. 그러나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살펴보면 상수도 미보급 인구가 5% 이상인 시·군이 여전히 80여 곳에 달하며, 이들 지역의 인구는 약 33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대부분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 지하수 관정 177만4천692곳 중 약 절반인 85만907곳이 생활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환경부는 매년 식수로 이용되는 지하수 약 2천 곳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검사 결과 평균 55.7%가 음용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수질검사 결과에서도 조사 대상의 61.9%(1천237건)가 마시는 물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일반세균(중온), 분원성대장균군, 탁도, 대장균군 순으로 문제가 발견됐다. 특히 우라늄이 기준치보다 많이 나온 곳도 있었으며, 이는 화성암이나 변성암 지대에 위치한 관정이었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검출된 관정도 있었는데, 이는 해당 관정 상류에 과거 폐기물이 대량 매립된 적 있어 VOCs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에서 인허가를 받은 관정은 전체의 72.4%였으나, 인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하수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수돗물이 없어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음용수로서의 만족도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수질검사를 받지 않은 이유로는 '몰라서'와 '비용 문제'가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박홍배 의원은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국민이 여전히 적지 않다"며 "당국은 부담스럽지 않게 수질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하수를 사용하는 국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철저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협력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국민들이 안전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