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겨울철이 되면서 이석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석증은 내이의 전정 기관에 있는 이석이 비정상적으로 이동해 발생하는 어지럼증이다.
겨울철 기온 차로 인한 혈관 수축과 면역력 저하로 인해 더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어지럼증으로 병원을 찾는 인원은 101만 5119명에 달한다. 5년 전인 2018년 90만 7665명에서 11.8% 늘었다.
이석증의 주요 증상은 특정 자세나 움직임에 따라 갑자기 발생하는 심한 어지럼증이다. 아침에 일어나거나 누웠다 일어날 때, 고개를 돌릴 때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환자들은 주로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것 같다"거나 "배를 탄 것처럼 흔들린다"고 표현한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이석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로 급격한 기온 변화와 실내외 온도 차이를 꼽는다. 온도의 변화가 혈관을 수축시켜 내이의 혈류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지는 이석이 정상 위치를 이탈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신경학저널(Neurology)'에 게재된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연구팀에 따르면 부족한 혈중 비타민D 농도를 채워줄 경우 이석증 재발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구진은 1050명의 이석증 환자 중 혈중 비타민D 농도가 20ng/㎖ 이하로 낮은 348명에게 1년간 비타민D 400IU와 칼슘 500㎎을 매일 2회 섭취하도록 했다.
그 결과 비타민D를 섭취한 그룹은 섭취하지 않은 그룹보다 재발 빈도가 약 217% 감소했다.
이석증의 원인으로는 노화, 외상, 만성 피로, 스트레스, 면역력 저하 등이 있다. 과로나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 습관을 지닌 현대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저혈압이나 빈혈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저혈압이나 빈혈 등도 어지럼증의 원인이다. 혈압이 낮거나 철분이 부족하면 충분한 산소가 뇌로 공급되지 않아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 역시 신경계를 예민하게 만들어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석증이 의심될 경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제때 치료 받으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방치하면 만성화되거나 다른 합병증 발생할 수 있다.
이석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경우 보통 이석정복술이라는 물리치료를 시행한다. 환자의 몸과 머리를 일련의 방향과 각도를 움직여 이석 입자를 제 위치로 돌려보내는 치료로 대개 두세 번 정도 받으면 약 90%에서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잘 치료되더라도 재발이 잘 돼 조심히 행동해야 한다. 특히 비타빈D 결핍과 연관성이 보고된 만큼 가벼운 운동과 규칙적인 야외 활동을 통해 골대사와 혈액순환을 증진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