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립된 창원시 통합 동물보호센터 '집단 안락사' 논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gesBank
열악한 환경의 유기동물 보호소를 하나로 통합한 '동물보호센터'에서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한 달 동안 90마리 상당의 유기견들을 안락사시킨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달 22일 동물공감연대는 창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복지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집단학살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창원시 관계자는 봉사자들과 시의원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생명을 살리기 위한 노력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하며 40억 원을 들여 통합 동물보호센터를 지었다"며 "그러나 시는 공간 부족 문제로 12월 한 달간 유기견 89마리를 집단 안락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간담회에 참석한 봉사자들과 시의원에 대한 명백한 기만행위"라고 덧붙였다.
"한 곳에서 모두 수용 가능하다면서..."
경남 MBC
그러면서 "앞으로 추가 학살까지 계획하고 있다"며 "저급한 생명 경시 민낯을 여실히 보여주는 행태이며, 집단학살을 멈추고 기존 약속을 지켜주길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창원시가 당초 마산, 창원, 진해 3곳에 나뉘어 있던 유기견들을 한 곳에 모두 수용할 수 있다며 건립한 통합 보호센터에서 '자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유기견들의 안락사를 진행하는 모순된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게 동물공감연대의 말이다.
실제로 지난해 새롭게 건립된 통합 동물보호센터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적정 개체 수는 400마리지만, 현재 보호소에 입소한 유기견의 수는 650여 마리로 포화 상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에 동물보호센터 측은 적정 개체 수를 유지하고, 수용 공간 확보를 위해 유기견들의 안락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현재까지 창원 통합 동물보호센터에는 마산과 창원에 머물던 유기동물만 입소된 상황으로, 이달 중 센터에는 진해보호소에 있는 200여 마리의 유기견이 추가로 입소될 예정이다.
보호소의 자리가 부족한 가운데, 200여 마리의 유기견이 추가로 입소되는 상황. 동물보호연대는 센터에서 일어날 대량 안락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창원시는 "(보호소 통합 후 이뤄진 안락사는) 시점이 공교롭게 된 부분이 있지만 원래 계획된 안락사의 일환"이라며 "안락사는 법으로 정해진 적법한 행위이고, 동물보호법 제46조 및 동물보호센터 운영지침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안락사를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타 지자체에서도 보호기간 1~2개월이 지나면 별도의 고시나 공고 없이 안락사를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여 말했다.
그러면서 시는 "현재로는 통합 센터 확충 등 계획은 없다"며 "안락사를 최소화할 수 있게 입소 개체를 줄이고 입양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