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1월 6일,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 개막에 앞서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호텔에서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미디어와 거래선 등 약 1,300명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 경험과 혁신의 확장'을 주제로 'Home AI' 비전을 공개하며, 초개인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스마트홈 경험을 넘어 산업과 사회로 확장하는 전략을 소개했다.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Home AI'는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초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해 일상에 편리함과 즐거움을 선사한다"며 "앞으로도 집을 넘어 산업과 사회로 혁신을 확장해 미래 100년까지 리더십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플랫폼을 통해 AI 기술을 통합한 초개인화된 'Home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Home AI'는 가족 구성원의 생활 패턴과 공간까지 분석해 한층 고도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공간 AI 기반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 기술로 기기 사용 패턴, 움직임, 주변 소리를 감지∙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AI 음성 비서 '빅스비'의 성능도 대폭 향상돼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별하고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통합 소프트웨어 'One UI'는 모바일에서 TV, 가전에 이르기까지 적용돼 기기 간 시너지를 강화한다. 또한 삼성전자는 최대 7년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며 지속적인 AI 경험 개선을 약속했다.
보안 측면에서 삼성전자는 '삼성 녹스' 기반 보안 기술을 강화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삼성 녹스 매트릭스'를 통해 연결된 기기와 데이터를 보호한다. '녹스 매트릭스 대시보드'와 '녹스 볼트'는 더욱 강화된 보안을 제공하며, 이를 모바일과 TV뿐 아니라 가전제품으로 확대 적용한다.
사진 제공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갤럭시 AI'를 탑재한 신제품 '갤럭시 북5 Pro·북360'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AI 셀렉트'와 '사진 리마스터' 등 다양한 AI 기능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한층 진화된 '삼성 헬스'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TV 신제품에는 '삼성 비전 AI'가 처음 적용돼 개인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클릭 투 서치', '실시간 번역', '생성형 배경화면' 등 다양한 AI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술 작품 구독 서비스인 '삼성 아트 스토어'는 Neo QLED와 QLED 모델로 확대 적용된다.
비스포크 냉장고 신제품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통해 냉장고 속 식재료를 자동 인식해 푸드 리스트를 생성하며, 미국 인스타카트와 협업해 식재료를 즉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플랫폼을 선박과 자동차로 확장하며, 삼성중공업과 협업한 '선박용 스마트싱스'와 현대차그룹과 협력한 '차량용 스마트싱스'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 솔루션들은 에너지 관리, 원격 제어, 안전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한다.
또한 삼성전자는 AI 기반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를 통해 상업용 건물, 학교, 다중주거시설 등으로 플랫폼을 확장하며, 에너지 통합 관리 및 원격 유지·보수를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 비전 아래 다양한 접근성 기능도 소개했다. 초기 설정 동기화, 자막 읽기 기능, 맞춤형 경험 제공 등을 통해 누구나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강조했다. '삼성 글로벌 골즈 앱'과 '제너레이션 17'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전 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며, 지속가능한 성장과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