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콘돔 사용률 감소 주요 원인, 포르노와 성교육 소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Pexels
포르노와 성인 콘텐츠 플랫폼의 영향, 성교육 소홀로 청소년의 콘돔 사용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일(현지 시간) 영국 BBC 등에 따르면 YMCA 성 건강 교육자 사라 피어트(Sarah Peart)는 "일부 청소년들은 포르노에서 콘돔 사용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성관계에서도 콘돔 사용을 꺼린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포르노뿐만 아니라 SNS에서 원치 않는 임신을 피하기 위해 생리 주기 추적 앱을 사용하라는 조언이 퍼지고 있는 것도 청소년 콘돔 사용 감소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성인 콘텐츠 플랫폼 '온리팬스(OnlyFans)'의 유행도 문제로 지적됐다.
온리팬스에 유명인들이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를 묘사하고, 성 경험을 자랑하며 나쁜 본보기를 보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 크리에이터는 하루에 여러 명의 남성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밝혔고 이 내용이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콘돔 사용률은 2014년 이후 크게 감소했다.
42개국 15세 청소년 24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2년 기준 15세 소년의 61% 소녀의 57%만 콘돔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년도의 70%와 63%에서 각각 떨어진 수치다.
"자연피임법, 신뢰할 수 없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많은 청소년들이 약물이나 기구 대신 여성의 생리 주기에 의존하는 자연피임법을 사용하는데, 피어트는 "신뢰할 만한 피임법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성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면 자연피임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또 생리가 규칙적이지 않고, 생리 주기를 엄격하게 기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신 가능성이 커진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청소년들의 피임약 사용 빈도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국가에서 성교육 시간이 부족한 것을 고려했을 때, 실망스럽지만 놀랍지는 않은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한편 YMCA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관계를 위해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무료로 콘돔과 윤활제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 제도가 미성년자의 성관계를 조장한다는 우려에 피어트는 "연구에 따르면 어린 나이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면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늦출 수 있다고 한다"며 "우리는 그들이 적어도 16세가 될 때까지 기다리도록 설득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만약 그들이 성관계를 하려고 한다면 안전한 방법으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