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위기라는 지라시에 주가 빠지자...그룹, '해명' 나서
사진=인사이트
최근 온라인에서는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라는 글이 확산했다. 롯데그룹의 자금이 말라 심각한 경영난에 처했다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재계순위 6위의 거대 그룹이 처한 위기라기에는 다소 믿기 힘들었지만, 이 근거 없는 이른바 '지라시'는 각곳으로 퍼져나갔다. 여러 계열사 주가가 급락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마치 '유동성 위기'가 사실인 것처럼 호도되자 롯데그룹이 나섰다.
21일 롯데그룹은 현재 부동산·가용예금만 71조4000억원에 달하는 등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며 계열사 전반의 재무 안정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발표했다.
롯데케미칼의 회사채 이슈와 관련해 유동성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불거지자 이날 롯데그룹은 위 내용이 담긴 설명자료를 배포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롯데그룹은 "지난달 기준 총자산은 139조원, 보유 주식 가치는 37조 5천억원에 각각 달한다"라며 "그룹 전체 부동산 가치는 지난 달 평가 기준 56조원, 즉시 활용 가능한 가용 예금도 15조 4천억원을 보유하는 등 안정적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다. 롯데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그룹 전반에 걸쳐 자산 효율화 작업과 수익성 중심 경영을 진행한다"라고 말했다.
롯데그룹 총자산 139조원...당장 쓸 수 있는 예금은 15조 4천억원
롯데케미칼 회사채와 관련한 현안은 최근 석유화학 업황이 침체됨에 따라 롯데케미칼의 수익성 저하로 발생한 상황일 뿐, 그룹의 자체적인 위기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미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한 상태이기에 우려할 게 없다고 밝혔다.
또 롯데그룹은 "2018년 이후 화학산업은 신규 증설 누적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수급이 악화하고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지면서 손익이 저하됐다"라며 "롯데케미칼이 일부 공모 회사채의 사채 관리계약 조항 내 실적 관련 재무 특약을 미준수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련 조항은 최근 발행한 회사채에는 삭제된 조항"이라며 "현재 롯데케미칼은 사채권자들과 순차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아울러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기준 4조원의 가용 유동성 자금을 확보해 회사채 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음 주 중 사채권자 집회 소집을 공고해 내달 중 사채권자 집회를 개최해 특약 사항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만큼, 시간이 지나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은 "이번 현안(롯데케미칼)과 관련해선 롯데지주 중심으로 주채권은행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원만히 해결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그룹은 앞으로도 계열사들과 원활한 협의를 통해 안정적 경영을 유지하고, 필요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해 재무 안정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