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난 2022년 기준 유튜버, 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들의 총 수입금액이 1조 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에 해당하는 이들은 1인당 평균 수입 금액이 8억 5000만 원에 달했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 받은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 9366명이었다.
양경숙 의원실 제공
신고 인원은 2019년 2776명에서 2020년 2만 756명, 2021년 3만 4219명 등으로 매해 증가했다.
이들이 신고한 수입금액은 총 1조 1420억 원에 달했다. 1인당 평균 수입으로 보면 2900만 원이다.
신고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총수입액 역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875억 원에서 2020년 4521억 원, 2021년 8589억 원으로 증가하다가 2022년에는 1조 원을 넘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특히 1인 미디어 창작자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393명의 총수입이 3333억 원으로 전체 수입의 29.2%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상위 10%로 넓혀 봤을 때 3936명의 총 수입은 8684억 원, 76%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수입은 2억 2100만 원이었다.
반면 수입 하위 50%에 해당하는 이들의 연평균 수입은 30만 원에 불과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 간의 수입 차이가 극과 극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와 관련해 양경숙 의원은 "유튜버들이 급증해 이들이 벌어들이는 총수입이 크게 늘었다"면서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져 큰 수입을 거두는 유튜버는 극히 소수이고 유튜브만으로 소득을 올리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이들을 말한다.
보통 유튜버, 인터넷 방송 진행자 등의 사업자가 해당된다.
여기서 수입금액은 경비를 차감하기 전 금액으로, 매출액과 일맥상통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