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정부가 내년 대학입시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천명 늘리기로 결정했다.
6일 보건복지부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를 열고 2025학년도 입시에서 의대 정원을 5천58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증원은 2006년 이후 3천58명으로 동결된지 19년 만이다.
정부의 정원 확대 발표에 의사단체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이필수 대한의사협회 회장 / 뉴스1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일방적인 정원 확대를 발표하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회원 81.7%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반대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 '이미 의사 수가 충분하다'(49.9%), '향후 인구가 감소하면서 의사 수요 역시 줄어들 것이기 때문'(16.3%), '의료비용 증가 우려'(15.0%), '의료서비스 질 저하 우려'(14.4%), '과다한 경쟁 우려'(4.4%) 등을 들었다.
이필수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일방적으로 의대 정원 확대 발표를 강행할 경우 대한의사협회 제41대 집행부는 총사퇴할 것이며 즉각적인 총파업 절차에 돌입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역시 소속 전공의 88%가 의대 증원 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설문 결과를 공개하며 단체 행동을 예고했다.
뉴스1
반면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는 성명을 통해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는 의협의 집단행동은 아무런 명분도 설득력도 없는 억지다. 반대를 위한 반대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같은 의료현장에서 국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동료로서 우리 보건의료노조는 의협에 간곡히 촉구한다"며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원정진료로 대표되는 필수의료·지역의료 붕괴를 막고자 한다면,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기 위한 집단행동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