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새벽녘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에서 맨발로 1층부터 13층까지 오르내리며 주민들을 대피시킨 의인이 화제다.
22일 동아일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전 6시 50분께 서울 강서구 방화동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동이 트기도 전 어두컴컴한 아파트 복도에는 한 남성이 다급하게 뛰어다녔다. 23세 남성 우씨였다.
1층부터 13층까지 약 30분 동안 계단을 두 차례나 오르내리며 주민들을 대피 시킨 후에야 아파트 밖으로 나왔다. 양손은 시커먼 재로 뒤덮였고 검은 가래까지 나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西瓜视频
그의 재빠른 대처 덕에 주민 95명이 대피할 수 있었다. 그는 그 후에야 슬리퍼 한쪽이 벗겨진 채 맨발로 돌아다닌 사실을 깨달았다.
이날 오전 6시께 일어난 우씨는 출근 준비를 하던 중 타는 냄새를 맡았다고 한다.
창문을 열고 불이 난 현장을 발견한 그는 오전 6시 45분께 자신이 거주하는 6층에서 14층으로 올라갔다.
아래층으로 내려온 그는 한 주민에게서 물에 적신 수건을 건네받아 다시 14층으로 향했고 복도에서 헤매고 있던 고령의 주민을 발견해 아래층으로 끌어낸 뒤 현장에 도착한 소방에 인계했다.
그는 화재가 발생한 6시 45분부터 119가 도착한 6시 59분까지 1층과 13층을 오가며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우씨의 도움으로 대피한 주민 최 모 씨(61)는 동아일보에 "젊은 총각이 '불났어요. 빨리 나오세요'라고 해서 위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었다. 정말 고마웠다"라고 전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기가 자욱한 것을 보고 10분 정도 망설이다 주민들을 대피시키기로 했다는 그는 "아버지의 유언이 떠올라 용기를 냈다"라고 밝혔다.
우씨의 아버지는 3년 전 간경화로 세상을 떠나기 전 "주변 사람들이 어려우면 한 몸 바쳐서 도와주라"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가장을 잃은 후 기초생활수급 대상이던 우씨 가족은 형편이 더욱 어려워졌고 그는 어머니와 단둘이 생활하며 공사장, 식당 등에서 일해왔다. 현재는 이동통신 판매업을 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서울 강서소방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45분께 '타는 냄새가 나고 복도에 연기가 자욱하다'라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당국은 인력 108명과 장비 30대를 동원해 오전 7시 49분께 화재를 진압했다.
이날 화재가 시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14층 거주자는 "담뱃불을 붙이다가 불이 살충제에 옮겨붙었다"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로 인해 옆집에 거주하는 70대 여성이 대피 도중 연기를 흡입해 의식을 잃은 채 구조됐고 현재는 의식을 되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을 대피시킨 우씨의 이야기에 누리꾼들은 "정말 멋진 청년이다", "정말 대단하고 존경스럽다", "이런 사람이 인재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동아일보에 따르면 해당 아파트에서는 여러 안전 문제가 발견됐다. 화재 당일 1층부터 15층까지 모든 층의 방화문이 열려 있었던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연기의 확산을 막가 주민의 대피시간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안전장치다.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는 준공된 지 30년이 넘은 복도식 아파트로 복도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어 중앙에 설치된 방화문이 열려 있으면 다른 층으로 연기가 확산된다.
또한 준공 당시 소방법상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택 내부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곳이 한곳도 없었다.
아파트 관리인에 따르면 이곳 150가구 중 100가구 이상이 대피가 어려운 고령자와 장애인이 살고 있지만, 안전장치가 부족한 것이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처럼 재해 약자일수록 화재에 안전한 성능을 갖춘 형태의 주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