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인천국제공항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여 만에 일일 여객 20만명을 회복했지만 면세업은 악화되고 있다.
이는 중국 내수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줄어든 탓으로 보인다.
1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14일 인천공항의 일일 여객은 20만 2554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2020년 1월 27일 20만 948명을 기록한 이후 1450일 만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당초 공사 측은 설 연휴 즈음 20만명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예상보다 한 달여나 빨리 도달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일본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국가들이 코로나19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무비자를 재개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실제 2019년 12월과 지난해 12월을 비교했을 때 일본 지역의 경우 무려 184.9%의 회복률을 보였다.
장거리인 미주 지역 역시 98.4%로 여객 정상화에 들어섰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그러나 일일 여객을 빠르게 회복한데 비해 면세산업은 여전히 더디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면세점협회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국내 면세점 매출은 12조 4512억원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2020년(15조원대)보다 규모가 작었다.
2021년과 2022년 또한 각각 17조 8000억원 수준이었다.
업계는 '유커'로 불리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급감한 점에 주목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현재 국내 면세점들은 지난해부터 송객 수수료율을 낮춘 상태다.
한국을 찾는 중국 보따리상이 줄면서 외국인 1인당 면세 소비 금액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1인당 면세 소비 금액은 코로나 전인 2019년 100만원대에서 보따리상 영향에 2021년(2555만원), 2022년(1000만원)까지 급증했다가 지난해 11월 기준 143만원선으로 크게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