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20대 남녀의 미혼 비율이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저학력, 여성은 고학력자들이 결혼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자기추세' 보고서에서 정선영 한은 조사국 과장과 한지우 조사역이 분석한 결과 한국의 미혼율은 2020년 기준 31.1%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 미혼율 27.9%에서 3.2% 증가한 수치다.
초혼 연령은 남성 29.3세에서 33.7세로, 여성은 26.5세에서 31.3세로 빠르게 늘어나는 등 늦은 결혼 현상도 심화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에 따라 20대 미혼율은 2000년대 71.1%에서 92.8%로 급증했다.
학력 수준별로는 남성은 저학력에서, 여성은 고학력에서 미혼율이 높았다. 올해 1~11월 30~54세의 미혼 비중을 파악한 결과 저학력 남성의 미혼 비중은 30.9%로 고학력 남성 27.4%보다 3.5%포인트 높았다.
반면 여성은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이 28.1%를 기록해 저학력 여성 15.9%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을 나타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미혼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2013~2023년 평균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96%로 미혼 남성 83%보다 13%포인트 높았다. 고용률도 기혼 남성이 95%로 미혼 79%를 웃돌았다.
반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기혼여성보다 각각 19%포인트, 16%포인트 높았다. 기혼 여성이 육아 부담 등으로 일자리를 포기하는 현상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혼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와 미혼 여성의 증가 효과를 종합하면 노동공급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집계됐다. 미혼 남성이 총고용률을 0.5%포인트 낮추는 반면 미혼 여성의 고용률 증가 효과는 0.2%포인트에 그쳤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미혼의 증가는 중장기적으로 노동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혼인율이 감소가 출산율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30년 후 미혼 비중이 현재의 약 2배 수준(남성 60%, 여성 50%)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활동참가율은 2031년 79.7%를 정점으로 하락이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7년 만에 노동공급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감소 폭은 2040년 79.3%로 약 9년간 0.4%포인트로 예측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는 미혼 인구 비중의 증가세를 고려하지 않은 시나리오에서 경제활동참가율 정점이 2035년 80.1%로 나타나고 2040년에도 80.0%로 정점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을 유지하는 것과 상반된 전망이다.
정 과장은 "미혼 인구 증가는 현재와 미래의 노동공급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혼인율을 높이는 완화 정책과,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 자립 지원 정책으로 결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미혼이더라도 근로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유연한 일자리와 자율적 업무환경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