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사격훈련하는 K1E1 전차 / 국방부
우리 군이 5일 북한의 서해 포격 도발에 대응해 이날 오후 3시부터 북방한계선(NLL) 남방 해상을 향해 포탄 400여 발을 발사했다.
이날 포격에는 백령도 해병 6사단과 연평도 소재 연평부대에 배치된 K-9 자주포·전차포가 동원됐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도발 시 자위권 차원에서 충분히 응징한다는 원칙에 따라 북한 포격의 2배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이 서북 도서에서 포를 쏜 것은 2018년 9·19 남북 군사 합의 이후 6년 만이다.
사격하는 K-9 자주포 / 국방부
국방부는 9·19 남북 군사 합의에 따라 서해에 완충 구역을 설정하고 포 사격을 금지했으나 북한은 합의 이후에도 16차례에 걸쳐 포를 발사하며 합의를 위반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그간 북한군이 옹진반도 해안과 서해 도서에서 해안포를 쏘더라도 대응 포격을 하지 않았다.
합참에 따르면 이날 대응 포격은 연평도와 백령도에 주둔한 해병대가 K-9 자주포, K-2 전차 등을 동원해 실시했다.
인천시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우리 군 대응 사격 3시간 전부터 연평·백령도 주민들에게 대피소로 이동하라고 안내했다.
해상 사격훈련 점검하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 / 국방부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합참 전투통제실에서 서북 도서 부대의 해상사격 훈련을 실시간으로 확인했다.
국방부는 "신 장관의 지시에 따라 우리 군은 군사경비태세를 격상하고 합동화력의 의한 압도적인 작전대응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북한 도발에 상응하는 NLL 남방 해상지역에 가상표적을 설정하여 사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해상사격훈련은 오늘 오전 적대행위 금지구역에서 포병사격을 실시한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이 해상사격훈련을 진행하는 동안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었다'고 부연했다.
전사한 장병들에게 시민들이 남긴 메시지 / 뉴스1
군과 정보 당국은 최근 옹진반도 일대에 주둔한 북한 4군단의 도발 징후가 포착돼 예의 주시해 왔다.
4군단은 다수의 보병사단과 포병 여단으로 편성됐다. 240mm 방사포를 비롯한 다수의 야포와 해안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또한 4군단의 소행이었다. 당시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이병 2명이 전사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다. 민간인도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북한군의 동향을 지속 추적·감시하고,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즉각, 강력히, 끝까지 응징할 수 있는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