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비 / gettyimagesBank
일본 정부가 지난 8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를 해양에 방류하면서 중국 수출길이 막혀버린 가리비.
가리비의 새로운 수출 시장으로 한국이 떠올랐다.
지난 25일 교도통신은 이날 일본 정부가 농림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각료회의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먼저 일본 정부는 회의를 통해 가리비 수출 국가·지역별 목표를 신설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 ABC News
앞서 중국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응하며 8월부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일본의 가리비 수출액 약 910억엔(한화 약 8300억 원) 중 절반 이상인 약 467억엔(한화 약 4300억 원)이 중국 수출액에 해당됐다.
즉 중국의 수입 금지 정책으로 일본은 수출에 큰 타격이 생긴 상황이다.
실제로 일본 가리비의 중국 수출액은 2개월 연속 '0원'을 기록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에 일본 정부는 2025년 수출 목표 656억엔(한화 약 6천억 원)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수출 시장으로 한국과 유럽연합(EU)을 개척할 방침이다.
한국에는 총수출액의 6.3%에 해당하는 41억엔(한화 약 375억원)어치를 수출할 목표를 설정했다.
EU에는 45억엔(한화 약 410억 원), 태국에는 24억엔(한화 약 220억 원), 베트남에는 5억엔(한화 약 46억 원)어치를 각각 수출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은 2013년 9월부터 후쿠시마 등 8개 현에서 잡힌 수산물에 대해서만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