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폐지를 수레에 잔뜩 싣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할머니가 덤프트럭에 치일 뻔한 위험천만한 순간이 담긴 영상이 공개됐다.
반대편 운전자의 기지로 덤프트럭이 급정차해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지난 20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덤프트럭 큰일 날 뻔했다"는 제목으로 누리꾼 A씨가 게재한 영상이 눈길을 끌었다.
해당 영상은 이날 오전 8시 30분쯤 녹화된 블랙박스 영상이다.
보배드림
영상을 보면 신호를 받고 출발하려던 덤프트럭 바로 앞으로 폐지를 잔뜩 실은 수레를 끄는 할머니가 지나간다.
그 순간 블랙박스 차량 운전자가 상향등을 켜고 경적을 울렸다. 덤프트럭 기사도 이에 할머니를 인지하면서 급정차한다.
덤프트럭이 조금만 더 속력을 내면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던 아찔한 상황이었다. 다행히 속력을 내기 직전 덤프트럭이 할머니를 인지하고 멈춰서면서 할머니는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
A씨는 "갑자기 할머니가 (덤프트럭 앞으로) 들어와서 깜짝 놀라 상향등 발사하고 클락션을 울렸다"며 "기사분이 상황을 인지한 걸까, 신호 바뀌고 출발하려다 멈칫했다"고 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러면서 "바로 출발했다면 정말 아찔한 상황이었다"고 했다.
간발의 차이로 덤프트럭 기사와 폐지 수거 할머니 모두 사고를 면한 상황에 누리꾼들은 "할머니가 잘 보이지 않았을 텐데 용케 봤다", "큰일 날 뻔했는데 정말 다행이다", "블랙박스 차량 클락션이 두 사람을 살렸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덤프트럭의 경우 차체가 높아 운전자들이 보행자를 쳐도 인지하지 못할 때가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2021년 4월 서울 중랑구 지하철 7호선 중화역 인근 도로에서 90대 노인이 25톤 덤프트럭에 치여 숨졌고, 같은 해 12월에는 덤프트럭이 9세 초등학생을 덮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덤프트럭 등 화물차는 전방 사각지대가 1~2m 발생해 교통사고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지난해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경찰청, 화물복지재단과 함께 '사각지대 주의' 스티커를 부착하는 등 교통안전 캠페인을 전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도 덤프트럭은 사각지대가 큰 만큼 더욱 경각심을 갖고 운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