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희철리즘Heechulism'
서울 광장전통시장 먹거리 노점 상인들이 최근 바가지 가격 논란으로 추락한 광장시장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 결의대회를 열었다.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연합회관 중강당에선 광장시장 상인 100여 명이 '광장시장 상인 서비스 향상 결의대회 및 교육'이라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쳤다.
상인회는 이날 바가지요금, 강매 등과 관련한 외부 고객들의 민원이 접수되면 상인회에서 위반 횟수에 따라 1일에서 최대 15일까지의 영업 정지 조치를 취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다.
종로 광장시장상인 서비스향상 결의대회 / 종로구
일부 상인들은 위생모와 앞치마를 두르며 '가격 표시·원산지 표시·착한 가격'이라 적힌 띠를 두르는 가 하면, 상인대표가 '친절', '가격', '위생', '안전' 등의 단어를 선창하면 참석자들이 '준수한다"는 구령을 세 번씩 따라 외치기도 했다.
상인회는 "매월 지속적인 서비스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불참 시에는 영업정지 1일 및 재교육 등 강도 높은 자정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6일 한 유명 여행 유튜버가 올린 영상을 통해 광장시장의 바가지 가격 논란이 불거졌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뉴스1
당시 베트남 지인들과 서울을 찾은 유튜버는 1만 5천 원짜리 모둠전 한 접시를 시켰지만 성인 한입 크기의 전을 약 8개 가량 받았고, 이후 상인들의 강매와 현금 결제 강요도 문제 되며 시장 전체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퍼졌다.
이에 서울시가 내년에 도입하기로 한 '정량 표시제'에 주목이 쏠리고 있다.
한편 지난 6월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상인들도 꽃게 바꿔치기 논란과 바가지 등 비판이 일자 '고객신뢰 자정대회'를 열어 큰절까지 하며 사과한 바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일부 상인이 "사지도 않을 거면서 가격을 왜 묻냐"며 막말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