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9일(토)

질병관리청 관계자 "빈대, 질병 매개 곤충 아니니 '개인'이 알아서 해라"

인사이트YouTube '크랩 KLAB'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금방 끝날 줄만 알았던 '빈대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도 모자라 우리의 실생활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찜질방, 대학 기숙사 등 공공시설에 나타났던 빈대가 이제는 우리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지하철에서 등장했다는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각 곳에서 공포 섞인 반응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민들 사이에서는 '질병관리청'이 빈대 문제와 관련한 골든타임을 지키지 못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태가 심각해지기 전 이뤄진 인터뷰에서 질병청 관계자가 한 발언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인사이트뉴스1


7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와 각종 SNS에서는 KBS뉴스가 지난달 24일 전한 영상에서 질병청 관계자가 한 말이 화제로 떠올랐다.


당시 관계자는 "빈대를 발견하면 지역 보건소에 신고해야 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아니다. 빈대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곤충이 아니기 때문이다"


"(빈대 관련해서는) 각 개인분들이 방제해야 할 사안인 것 같다"


YouTube '크랩 KLAB'


시민들은 빈대 사태를 너무 쉽게 봤던 게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2~3일에 한 번씩 3~4개의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뛰어나고 방제가 쉽지 않은 빈대를 '개인'이 알아서 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 A씨는 "개인이 해야 한다면 정부는 왜 있냐"라고 지적했고 또 다른 시민은 "전국적으로 난리가 났는데 개인이 하라니, 이거 완전 각자도생 질병청이냐"라고 분노했다.


이와 관련해 질병청 측은 "빈대는 질병 매개 곤충이 아니니 개인이 알아서 하라는 뜻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질병청 측은 "일반적으로 감염병을 매개하는 모기, 파리 등 해충은 방역차량으로 연무방역을 하는 등 지역방제를 하는 게 효과적"이라면서 "그런데 빈대의 경우에는 모기, 파리처럼 광범위한 움직임이 아닌 가구 내 빈틈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지역방제로는 활동이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지역방제보다는 개별방제가 필요하다는 차원의 설명이었다"라고 덧붙였다. 개인이 다 알아서 하라는 것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인사이트뉴스1


한편 질병청은 현재 퍼지고 있는 빈대가 기존 살충제에 내성이 생겼다는 점을 뒤늦게 파악, 대체 살충제를 검토 중이다.


질병청은 "외국에서는 이미 저항성 문제 때문에 다른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라며 "대체 살충제 사용 검토를 환경부와 적극 협의 중"이라고 했다.


아울러 질병청은 해충 방역업체들이 숙박업소 등에서 채취한 빈대 샘플을 받아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난달부터 이날까지 국민신문고를 통해 질병청에 접수된 빈대 의심신고는 총 11건이다.


정부 민원안내 전화인 '국민콜 110'을 통해 들어온 서울지역 빈대 의심 신고는 5건이었다. 최근 빈대 발생은 입국자들을 중심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