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인사이트] 이유리 기자 =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코로나19 확진자도 일반 수험생과 동일한 시험실에서 응시할 수 있게 됐다.
7일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수능은 그동안 코로나 수능으로 불리던 3년간의 터널을 벗어나 일상으로의 복귀를 맞이하는 수능"이라며 2024학년도 수능 세부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뉴스1
대학수학능력시험 운영계획에서 방역기준 완화에 따라 오는 16일 치러지는 수능에서 코로나19 확진자나 유증상자도 일반 수험생과 분리하지 않고 동일한 교실에서 응시한다.
확진자가 병상에서 시험 볼 수 있도록 조치했던 병원시험장 운영도 이번 계획에 포함하지 않았다.
다만 감염병 확산 방지 차원에서 마스크 착용이 강력하게 권고한다.
점심시간에 사용했던 칸막이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확진자는 별도의 분리된 공간에서 먹도록 조처한다.
올해 서울에서 응시하는 수험생은 총 10만7423명으로 전년보다 658명 증가했다.
뉴스 1
재학생은 5만7293명(53.3%)으로 전년보다 5091명 감소했지만, 졸업생은 4만6661명(43.4%), 검정고시 등은 3649명(3.2%)으로 전년보다 각각 5262명, 487명 늘었다.
서울시교육청은 장애 수험생을 위한 편의 제공 시험장 4곳을 포함해 230곳의 시험장과 4669실의 시험실을 운영한다.
올해는 소년수형자를 위한 별도 시험실을 남부교도소에 설치해 12명의 수형자가 응시할 수 있게 됐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수험생은 시험 당일 16일 오전 8시10분까지 지정된 시험장의 시험실에 입실해야 한다.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과 수험표를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수험표를 놓고 왔거나 분실했을 경우 신분증과 함께 응시원서에 붙인 사진과 동일한 사진 1장을 가지고 시험 당일 오전 7시30분까지 시험장 내 관리본부에 찾아가 수험표를 재발급 받으면 된다.
시험 중엔 부정행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지난해 전자기기 소지, 4교시 탐구영역 응시 순서 위반 등으로 79명의 수험생이 부정행위 처리됐다.
전자기기는 시험장 반입 금지물품으로 보관만 하고 있어도 부정행위로 간주되며 당해 시험이 모두 무효처리된다. 4교시 탐구영역은 과목 순서에 따라 해당 과목 문제지만 올려두고 풀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