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9일(토)

여가부, 2030세대에게 호감 얻기 위해 4억 6500만원 쓴다

인사이트뉴스1


[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여성가족부(여가부)가 부처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2030세대를 타깃으로 정책 홍보 활동을 벌인다.


이를 위한 내년도 정책 홍보 활동 예산으로 4억여 원을 책정했다.


지난 1일 국민일보는 여가부가 발표한 '2024년 여성가족부 정책홍보 위탁사업' 계획안에 따르면 정책홍보 예산으로 총 4억 6500만 원이 책정됐다고 단독 보도했다.


여가부의 주요 홍보 목적은 '정책 인지도 및 호감도 제고'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특히 젊은 세대인 2030을 타깃으로 정책홍보 활동을 강화하겠다는 설명이다.


2020년부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여가부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고조돼 급기야 '폐지론'까지 등장하자 위기를 느끼고 이같은 홍보 활동을 기획한 것으로 매체는 분석했다.


특히 여가부는 '여성만을 위한 부처'라는 인식을 바꾸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여가부의 역할인 여성뿐만 아니라 가족지원서비스, 아이돌봄, 위기청소년, 폭력 피해자 지원, 여성 경제활동 지원 등의 활동과 가치를 부각할 수 있도록 홍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슈 분석에도 인력을 투입할 계획이다.


여가부는 월 1회 언론 및 여론 이슈 분석을 통해 대응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여가부의 노력이 줄줄이 삭감되는 예산과 현실로 다가오는 부처 폐지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한다.


인사이트여가부 폐지 촉구 집회 / 뉴스1


실제로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여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예산 사업 설명자료'에 따르면 내년도 여가부 예산 중 청소년활동예산,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성인권교육예산, 청소년 근로권익예산 등이 줄줄이 전액 삭감됐다.


또 내년 4월 치러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해 여소야대가 형성될 경우 법안 개정을 통해 여가부가 폐지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여가부 관계자는 "2030세대는 어느 부처에 있어서든 정책홍보에 있어 주요한 목표"라며 "통상적으로 유사한 홍보활동을 진행해 왔고 올해 특별한 의미를 담아 타깃을 설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당 매체를 통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