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인사이트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출퇴근길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아 '지옥철'이라 불리기도 하는 서울 지하철 4·7호선.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 혼잡도 최소화를 위해 내년 1월부터 출퇴근 시간대의 지하철 4·7호선 열차 2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려고 계획 중이다.
객실 의자를 모두 없애는 방안이다.
1일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내년 1월 출퇴근 시간대의 지하철 4·7호선 열차 2칸을 대상으로 객실 의자를 없애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인사이트
호선 상황, 차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혼잡하면서도 객실 의자 아래 중요 구성품이 적은 호차를 선정해 시범 추진할 계획이다.
공사는 4호선과 7호선 열차 1칸의 최고 혼잡도(2023년 3분기 기준)는 각각 193.4%, 164.2%라고 밝혔다.
혼잡도는 열차에 얼마만큼의 탑승객이 탔는지를 알려주는 수치다. 실제 승차 인원을 승차 정원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공사는 객실 의자 제거 시범사업을 통해 4·7호선 열차 1칸의 최고 혼잡도가 각각 153.4%, 130.1%로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각각 40%p, 34.1%p 하락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인사이트
또한 공사는 지하철 혼잡도 해소의 근본 대책으로 4호선 3편성 30칸, 7호선 1편성 8칸을 추가로 도입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노후된 전동차 교체사업을 발주할 때 통합 발주 또는 계약 변경으로 추진해 도입 시기를 앞당기고 비용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안상덕 서울교통공사 차량본부장은 "의자를 제거하면 그 공간만큼 사람들의 밀집도를 줄여 혼잡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시범 사업을 통해 효과성이 입증되면 추후 사업을 확대해 시민이 더욱 쾌적하고 안전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인사이트
한편 2005년 의자를 제거하고 접이식 의자를 붙이는 시도를 했던 바 있지만, 사람들이 다치거나 (의자가) 고장 나고 관리가 되지 않는 상황이 있어 전면 시행되지는 않았다.
이번에는 접이식 의자보다는 개방감 있는 형태로 2칸 정도 시험 운행하고 시민 선호도 조사도 진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